2장_1절. 표준 조인(Standard Join)
1. Standard Sql 개요 -1970 E.F Codd 관계형 RDBMS 논문발표 -1974 IBM SQL 개발 -1980 Sysbase SQL Server 발표 -1983 IBM DB2 발표 -1986 ANSI/ISO SQL 표준 최초 제정(SQL1) -1992 ANSI/ISO SQL 표준 제정(SQL2) -1993 MS SQL Server 발표 -1999 ANSI/ISO SQL 표준 제정(SQL3) -2003 ANSI/ISO SQL 표준 제정(SQL2003) -2008 ANSI/ISO SQL 표준 제정(SQL2008) #E.F Codd의 논문에 언급된 8가지 관계형 대수 = 4개의 일반 집합연산자 + 4개의 순수 관계 연산자 가. 일반 집합 연산자 1.합집합 연산(Union) : 교집합의 중복을 제거하는 연산 // 나중에 Union All 기능 추가(중복도 보여줌) 2.교집합 연산(Intersection) : 교집합 추출 3.차집합 연산(Difference) : 차집합 추출 4.곱집합 연산(Product) : cartesian 연산, M*N건의 데이터 조합 발생 나. 순수 관계 연산자 5. Select 연산(행선택) : Where절로 구현 6. Project 연산(열선택) : Select절의 칼럼선택 기능으로 구현 7. (Natural) Join 연산 : 여러가지 Join 기능으로 구현(Natural Join, Inner Join,Outer Join, Using,On) 8. Divide 연산(나눗셈연산) : 현재 사용되지 않음. #RDBMS의 경우 데이터 정합성과 데이터 저장공간의 절약을 위해 엔터티를 최대한 분리하는 정규화 과정을 거치는데 일반적으로 3차 정규형이나 보이스코드 정규형가지 진행한다. 이런 정규화 과정을 거치면 하나의 주제에 관련된 엔터티가 여러개로 나누어지고, 이렇게 흩어진 데이터를 연결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오는 작업이 바로 ...
댓글
댓글 쓰기